캐글 타이타닉2 - 모델 튜닝을 통한 점수 높이기
Updated:
아래 포스팅의 jupyter notebook 파일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타이타닉의 생존자 예측 모델을 생성해보았다. 데이터 전처리에는 꽤 많은 공을 들였지만 학습 과정에서 모델 파라미터를 하나도 조절하지 않은 점이 아쉬웠다. 이번에는 모델을 조금 더 정교하게 만드는 방법들을 적용해보고자 한다.
1. feature scaling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입력 숫자들의 스케일이 많이 다르면 잘 작동하지 않는다. 타이타닉 문제의 특성들을 다시 살펴보자.
Variable | Definition | Key |
---|---|---|
survival | 생존여부 | 0 = No, 1 = Yes |
pclass | 사회-경제적 지위 | 1 = 1st, 2 = 2nd, 3 = 3rd |
sex | 성별 | |
Age | 나이 | |
sibsp | 타이타닉호에 탑승한 형제-자매 수 | |
parch | 타이타닉호에 탑승한 부모-자녀 수 | |
ticket | 티켓 번호 | |
fare | 탑승 요금 | |
cabin | 방 번호 | |
embarked | 탑승 지역(항구 위치) | C = Cherbourg, Q = Queenstown, S = Southampton |
특성들 중 연속 변수에 해당하는 것은 Age, Fare이고 실제로 이 둘이 가장 큰 범위를 갖는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이 둘을 구간과 개수를 기준으로 그룹화하여 범주형 데이터로 만들어 스케일을 줄였다. 이번에는 다른 방법을 써보려 한다.
우선 저번 포스팅의 코드를 압축하여 Age
전까지의 전처리를 진행한 뒤에 시작하자.
import numpy as np
import pandas as pd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import seaborn as sns
# 데이터 불러오기
train = pd.read_csv('./train.csv')
test = pd.read_csv('./test.csv')
train_test_data = [train, test]
# Sex 전처리
sex_mapping = {"male":0, "female":1}
for dataset in train_test_data:
dataset['Sex'] = dataset['Sex'].map(sex_mapping)
# SibSp & Parch 전처리
for dataset in train_test_data:
# 가족수 = 형제자매 + 부모님 + 자녀 + 본인
dataset['FamilySize'] = dataset['SibSp'] + dataset['Parch'] + 1
dataset['IsAlone'] = 1
# 가족수 > 1이면 동승자 있음
dataset.loc[dataset['FamilySize'] > 1, 'IsAlone'] = 0
# Embarked 전처리
for dataset in train_test_data:
dataset['Embarked'] = dataset['Embarked'].fillna('S')
embarked_mapping = {'S':0, 'C':1, 'Q':2}
for dataset in train_test_data:
dataset['Embarked'] = dataset['Embarked'].map(embarked_mapping)
# Name 전처리
for dataset in train_test_data:
dataset['Title'] = dataset['Name'].str.extract('([\w]+)\.', expand=False)
for dataset in train_test_data:
dataset['Title'] = dataset['Title'].apply(lambda x: 0 if x=="Mr" else 1 if x=="Miss" else 2 if x=="Mrs" else 3 if x=="Master" else 4)
1.1 Age : min-max 스케일링
각 데이터에서 최소값을 뺀 뒤 범위(max - min)로 나누어 모든 데이터를 0~1 사이에 오도록 만드는 방법이다. 상한과 하한이 확실히 정해지는 장점이 있으나 이상치에 민감한 단점이 있다. 비교적 정규분포에 가까운 Age에 min-max 스케일링
을 적용하자.
직접 코드를 작성하여 스케일링을 할 수도 있으나 사이킷런에서 이에 해당하는 MinMaxScaler
변환기를 제공한다.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결측치 제거
for dataset in train_test_data:
dataset['Age'].fillna(dataset.groupby("Title")["Age"].transform("median"), inplace=True)
# min-max 스케일링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MinMaxScaler
scaler = MinMaxScaler()
for dataset in train_test_data:
array = dataset['Age'].values.reshape(-1,1) # 2D array로 변환
scaler.fit(array) # 스케일링에 필요한 값(최소값, range 등) 계산
dataset['AgeScale'] = pd.Series(scaler.transform(array).reshape(-1)) # 스케일링 후 series로 추가
train.head()
우선 MinMaxScaler
는 2D array에 대해서 작동한다. 그러나 dataset['Age']
은 Dataframe의 series로써 1D array이다. 따라서 이를 numpy의 reshape(-1,1)
메서드를 통해 2D array로 바꾼다. 참고로 reshape
메서드는 pandas의 series에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values
메서드를 통해 series를 numpy array로 바꿔주어야 한다.
scaler.fit(array)
는 스케일링에 필요한 값들을 계산해서 저장한다. 실제 스케일링은 scaler.transform(array)
으로 해야한다. 변환이 끝난 결과물은 아직 2D numpy array
이므로 reshape(-1)
을 통해 1D numpy array로 바꾼 뒤 Series
메서드를 통해 series로 바꾼 다음 train과 test dataframe의 새로운 column으로 추가시킨다.
1.2 Fare : 표준화(standardization)
정규분포의 Z변수$\left(X-mu \over \sigma \right)$로 바꾸는 작업이다. min-max 스케일링과 마찬가지로 사이킷런에서 변환기를 제공한다. Fare
특성은 분포의 왜곡이 심하므로 표준화가 적절해 보인다. 사용법은 min-max 스케일링과 동일하다.
# 결측치 제거
for dataset in train_test_data:
dataset["Fare"].fillna(dataset.groupby("Pclass")["Fare"].transform("median"), inplace=True)
# 표준화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StandardScaler
scaler = StandardScaler()
for dataset in train_test_data:
array = dataset['Fare'].values.reshape(-1,1)
scaler.fit(array)
dataset['FareScale'] = pd.Series(scaler.transform(array).reshape(-1))
train.head()
2. 상관계수 : 필요없는 특성 제거
상관계수를 통해 target과 관련이 없는 특성은 제거하도록 하자. 불필요한 특성이 많을 경우 모델이 과대적합될 위험이 있으므로 이 작업은 중요하다. 데이터셋이 크지 않은 경우 모든 특성 간의 표준 상관계수(피어슨 r)를 corr()
메서드를 통해 쉽게 계산할 수 있다.
# 전처리가 끝난 특성들 제거
drop_column = ['Name', 'Age', 'SibSp', 'Parch', 'Ticket', 'Fare', 'Cabin']
for dataset in train_test_data:
dataset = dataset.drop(drop_column, axis=1, inplace=True)
# 상관계수 계산
corr_matrix = train.corr()
corr_matrix["Survived"].sort_values(ascending=False)
Survived 1.000000
Sex 0.543351
Title 0.414088
FareScale 0.257307
Embarked 0.106811
FamilySize 0.016639
PassengerId -0.005007
AgeScale -0.078698
IsAlone -0.203367
Pclass -0.338481
Name: Survived, dtype: float64
FamilySize
의 경우 상관계수가 거의 0에 가까우므로 Survived
와는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삭제하도록 한다.
drop_column = ['FamilySize']
for dataset in train_test_data:
dataset = dataset.drop(drop_column, axis=1, inplace=True)
train.head()
3. k-겹 교차 검증(k-fold cross-validation) : 결정트리
지금까지 특성들에 대한 정제방법에 대해 다루었다면 이제부터는 모델을 튜닝해보도록 하자. 사이킷런의 k-fold 교차검증은 훈련 데이터를 폴드(fold)라 불리는 n개의 서브셋으로 무작위 분할한다. 그 다음 매번 다른 폴드를 선택해 평가에 사용하고 나머지 n-1개의 폴드는 훈련에 사용한다. 즉 모델을 n번 훈련하고 평가하여 n개의 평가 점수가 담긴 배열을 출력한다.
저번 포스팅에서 가장 점수가 좋았던 결정트리 모델에 k-fold 교차 검증을 적용하자.
# 훈련을 위한 train, target 분할
drop_column2 = ['PassengerId', 'Survived']
train_data = train.drop(drop_column2, axis=1)
target = train['Survived']
from sklearn.tree import DecisionTreeClassifier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cross_val_score # 교차 검증 패키지
from sklearn.metrics import mean_squared_error
clf = DecisionTreeClassifier()
clf.fit(train_data, target) # 모델 훈련
prediction = clf.predict(train_data) # 예측
tree_mse = mean_squared_error(target, prediction) # 오차 계산
tree_rmse = np.sqrt(tree_mse)
print("훈련 데이터 점수 :", tree_rmse)
# 교차 검증
scores = cross_val_score(clf, train_data, target,
scoring="neg_mean_squared_error", cv=10)
tree_rmse_scores = np.sqrt(-scores)
# 점수 표시 함수 작성
def display_scores(scores):
print("교차검증 점수:", scores)
print("평균:", scores.mean())
print("표준편차:", scores.std())
display_scores(tree_rmse_scores)
훈련 데이터 점수 : 0.138129235668458
교차검증 점수: [0.52704628 0.43704832 0.56089816 0.46204236 0.41053541 0.47404546
0.38218767 0.51929079 0.44971901 0.43704832]
평균: 0.46598617890957217
표준편차: 0.05262594705758865
점수는 평균제곱오차에 해당하므로 0에 가까울수록 좋다. 훈련데이터 전체에 대해서는 점수가 매우 높은 반면 교차 검증에 대해서는 그 결과를 잘 반영하지 못한다. 즉 모델이 과대적합 되었다는 뜻이다. 실제로 캐글에 제출했을 때에도 스케일링 전보다 점수가 더 낮아졌다.
4. 모델 파라미터 조작 : 규제
규제는 과대적합된 모델이 다른 데이터에 대해서도 일반성을 갖도록 하는 방법중 하나이다. 훈련 세트 전체에 대한 설명력은 낮아지지만 교차검증에 대한 점수는 높일 수 있도록 모델을 튜닝해야한다.
4.1 max_depth
결정트리에 대해 규제를 가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가지치기이다. 즉 트리의 깊이를 조절하는 방법이다. 사이킷런에서는 max_depth
매개변수로 이를 조절할 수 있다. 트리의 깊이에 상한을 정하여 과도하게 복잡한 트리가 만들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결정트리 모델에 아무런 매개변수도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기본 매개변수) 규제가 없는 모델이 생성된다.
score_list=[]
kfold_score_list=[]
for i in range(1,11):
clf = DecisionTreeClassifier(max_depth = i)
clf.fit(train_data, target)
prediction = clf.predict(train_data)
tree_mse = mean_squared_error(target, prediction)
tree_rmse = np.sqrt(tree_mse)
scores = cross_val_score(clf, train_data, target,
scoring="neg_mean_squared_error", cv=10)
tree_rmse_scores = np.sqrt(-scores)
score_list.append(tree_rmse)
kfold_score_list.append(tree_rmse_scores.mean())
score_data = {'훈련 세트 점수' : score_list, '교차 검증 점수' : kfold_score_list}
score_data_frame = pd.DataFrame(score_data, index=range(1,11))
score_data_frame
최대 가지 깊이가 높아지면서 규제가 풀릴수록 훈련 세트에 대해서는 높은 성능을 보인다. 교차 검증 점수는 3~7 정도에서 높다. 이들 중 훈련세트와의 오차는 max_depth=3
일때 가장 적지만 교차 검증 점수는 max_depth=4
일때 가장 낮으므로 해당 파라미터는 max_depth=4
를 택한다.
4.2 min_samples_leaf
리프노드는 더이상 자식노드를 가지지 않는 불순도 0의 노드이다. 사이킷런의 min_samples_leaf
파라미터는 리프 노드가 가져야할 최소 샘플 수를 말한다. 결정트리에서 min_
으로 시작하는 매개변수를 증가시키거나 max_
로 시작하는 매개변수를 감소시킬수록 모델의 규제는 커지게 된다. max_depth=4
로 고정하고 min_samples_leaf
에 따른 k-fold 교차검증을 시도해보자.
score_list=[]
kfold_score_list=[]
for i in range(1,11):
clf = DecisionTreeClassifier(max_depth = 4, min_samples_leaf = i)
clf.fit(train_data, target)
prediction = clf.predict(train_data)
tree_mse = mean_squared_error(target, prediction)
tree_rmse = np.sqrt(tree_mse)
scores = cross_val_score(clf, train_data, target,
scoring="neg_mean_squared_error", cv=10)
tree_rmse_scores = np.sqrt(-scores)
score_list.append(tree_rmse)
kfold_score_list.append(tree_rmse_scores.mean())
score_data = {'훈련 세트 점수' : score_list, '교차 검증 점수' : kfold_score_list}
score_data_frame = pd.DataFrame(score_data, index=range(1,11))
score_data_frame
min_samples_leaf=6
일때 교차 검증 점수가 가장 높으므로 해당 파라미터를 채택한다.
채택한 파라미터로 모델을 훈련하여 결과를 저장한다.
결정트리에 어떤 파라미터들이 더 있는지 확인 하고싶다면 다음 링크를 들어가보자.
scikit-learn : DecisionTreeClassifier
# 모델 훈련
clf = DecisionTreeClassifier(max_depth=4, min_samples_leaf=6)
clf.fit(train_data, target)
test_data = test.drop("PassengerId", axis=1)
predict = clf.predict(test_data)
# 예측 결과 저장
submission = pd.DataFrame({
'PassengerId' : test['PassengerId'],
'Survived' : predict})
submission.to_csv('submission_tree_reg.csv', index=False)
5. 결과
캐글에 제출한 결과이다.
전보다 꽤 많이 올랐다!
랭크도 상위 29%에서 9%로 상승.
참고
핸즈온 머신러닝 2판 (오렐리앙 제롱 지음. 박해선 옮김)
Leave a comment